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1 Chapter 0 : The Analytical Process * 들어가기 전에 이 내용은 Harris의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8th Edition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내용정리는 다 제가 했으며, 사진자료의 저작권은 모두 Harris에게 있습니다. (출처) 오타나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피드백 주시면 감사히 받겠습니다. The Analytical Chemistry Chapter 0 : The Analytical Process l 용어정리 aliquot: portions. 비율을 의미 analyte: Substances being measured. 측정되어질 물질을 의미. aqueous : 수용액 calibration curve : a function of analyte concentration. 분석 물질의 농도를 함수로 나타낸.. 2019. 1. 2. 키보드 구입 후기 * 이 글은 블루투스 키보드로 작성되었습니다. 긴 글 포스팅은 어차피 오늘 밤에 올라오겠지만... 신기해서 한 번 남겨봅니다. 사실 모바일로 포스팅을 잘 하지 않는 이유가 손가락이 커서.... 타자를 치기가 불편해서였는데. 오늘 이것 구입을 통해 어느 정도는 해결된 기분이네요. 우선 후술하겠지만 오늘 아트박스를 다녀왔는데, 가격표가 참 맘에 들지 않아서 한 마디를 쓰려고 합니다. 뭐 근데 그건 그렇다 치더라두... 키보드는 매우 맘에 드네요. 한동안 삶의 질이 매우매우 상승할듯.... 아무튼 이따 봐요~! 2018. 12. 30. 2018년 하반기 강의평가 - 물리화학 1 2018 하반기 강의평가 물리화학 1 교수님 : 신태호 교수님 수업 교재 : 자체 판서로 진행하나, 방향성은 Engel Physical Chemistry 3th Edition을 사용하며, 추천 교재로 Griffith의 Quantum Mechanics 2th Edition을 추천한다. 강의의 장점 : 교수님의 장점이라 하면 뭐니뭐니해도 논리 정연한 물리화학일 것이다. 수업은 학기 초에 psi로 시작하여 학기 말에 psi로 끝난다. 물리화학 1 시간에는 주로 양자역학의 기초에 대해서 다루게 되는데, 이를 열심히만 따라간다면 충분히 양자역학의 기본에 대한 이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강의의 단점 : 교수님 강의의 단점은 바로 수업의 집중을 이어가는 능력이다. 수업이 대부분 증명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이 내용.. 2018. 12. 28. Prep(Extraction) 과정 + 기타 실험공부자료 M.Sporium 5 / MMOR FAD domain pET30a / (DH5a(DE3)) 균주 / insert vector / competent cell 메탄균 : 메탄을 기질로 하여 산화시켜서 메탄올을 생성함. MMOH-hydroxylase MMOR-reductase MMOB-inhibitor DE3 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BL21 균주 에 대해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단백질 발현에 사용되는 균주로 BL21 (DE3) 이 있습니다. 외부 단백질 발현에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균주로서 ompT protease가 없어서, 생성되는 단백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 BL21중에서도 T7 RNA Polymerase가 있는 것은 특별히 DE3를 붙임 * BL21(DE3).. 2018. 12. 21. Dancing Line - 피아노 어제 올린 Dancing Line의 '시간' 에 이은 '피아노' 입니다. 다른 분들이 어떻게 생각할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이 두곡, 시간과 피아노가 댄싱 라인에서 가장 많이 들어 본 음악인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곡은 '미운오리새끼' 인데... 언제 올리게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Dancing Line에 수록된 곡들은 다 심금을 자극하는 노래들인 것 같습니다. 다만 게임을 직접 하는사람 입장에서는 그리 잘 들리지는 않는다는...ㅜㅜ 즐겁게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2018. 12. 10.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사용법 일반적으로 볼수있는 오토클레이브의 모습입니다. 눕히면 우리 과에 있는 오토클레이브와 매우 흡사.... 하지만... 조금 다르긴 하네요. 오토클레이브(Autoclave)란 실험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고온 고압 멸균기를 부르는 말입니다. 생화학 실험실, 분자생물학 실험실, 혹은 의과대학 실험실 등에서는 E.coli 와 같은 살아있는 생명체들을 실험에 사용하기 때문에, 깔끔하고 확실한 실험을 위해서는 다음 실험 전에 고온 고압 멸균을 해주어야만 합니다. 그런데 고온 고압이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 오토클레이브는 자칫 잘못하다가는 큰 사고가 날 수도 있는 기기이기에, 사용 방법을 정확하게 숙지하는 것이 핵심이라구 할 수 있겠네용. 그렇다면 오토클레이브는 어떻게 사용하는 것일까요?? - Autoclave 사용법 *.. 2018. 12. 10. 이전 1 ··· 17 18 19 20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