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6

[2021/V-I-1] 13. 소화 1. 생물의 구성 단계지난 11, 12에서는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에 대해서 다루었다면, 13부터 진행되는 이야기는 동물 안에서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단원의 분류 상 생명과학에 포함되고, 고등과정에서 다룰 생물의 중요한 특성들이니 잘 숙지해 두기를 바란다.생물을 다루기 위해서는, 먼저 생물을 구성하는 '구조'를 기억해야 한다. 항상 모든 공부의 시작은 체계화임을 잊지 말도록 하자. 생물의 기본 단위는 무엇일까. 여러 가지 조건이 있겠지만,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세포는 한 종류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는데, 이들이 모이면 비슷한 기능을 하는 새로운 집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을 '조직'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조직들이 모이게 되면, 이를 '기관'이라고 하.. 2021. 9. 14.
12. 식물의 호흡 1. 식물의 호흡 빛을 이용해 식물이 영양분을 만드는 과정을 광합성이라고 하였다. 광합성은 다시 말해 돈을 저축하는 과정에 비유할 수 있다. 그렇다면, 돈을 쓰는 경우는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호흡'이라고 불리는 과정이다. 즉, 호흡이란 광합성의 역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포도당과 산소를 소모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만드는 과정이다. 호흡을 확인하는 것 역시 간단한 실험을 통해 진행할 수가 있다. 석회수가 든 관을 준비하고, 이에 다른 관을 연결한다. 하나의 관에는 시금치를 두고, 다른 관은 빈 병으로 둔다. 시간이 지난 후 석회수의 변화를 관찰하면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시금치를 둔 병은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졌는데, 반대편의 빈 병의 석회수는 색이 변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우리는 다음을.. 2021. 9. 10.
11. 광합성 1. 광합성 4단원을 끝으로 2학년 1학기의 과학 전 과정을 마무리한다. 4단원은 생물, 그 중에서도 식물에 관하여 다루게 된다. 식물과 동물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 1학년 때 다루기도 했고, 우리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사실 중 하나는, '이동성'의 차이일 것이다. 대부분의 식물은 땅에 뿌리내리고 살며, 대부분의 동물은 항상 이동하며 살아간다. 신은 생명체에게 모든 것을 주지 않는다, 동물이 신에게 이동성을 받았다면, 식물은 무엇을 받았을까? 그 정답은 바로, 이동하지 않고도 음식을 먹고 살 수 있는 능력이다. 우리는 이것을 '광합성(Photosynthesis)' 라고 한다. 광합성 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식물이 양분을 합성하기 위해 빛(일반적으로 태양의 백색광이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2021. 9. 7.
[2021] 10. 태양계의 구성 1. 행성3단원에서 마지막으로 다루는 내용은 우리가 사는 지구를 포함한 태양계에 관련된 이야기이다. 태양계에는 유일한 광원이자 별인 '태양'이 있고, 이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여덟개의 행성이 있다. 이들과 왜소행성, 소행성, 혜성, 위성 등을 모두 포함한 것들을 '태양계'라고 정의한다. 태양계를 이루는 행성은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의 총 8개이다. 이들 각각의 대표적 특징과 구분 방식에 대해 잘 숙지해야 되겠다. 먼저 각 행성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자수성은 태양계 행성 중 태양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행성이며, 크기가 가장 작다. 한편 대기가 없다는 것이 수성의 특징인데, 이 때문에 낮과 밤의 표면 온도 차이가 매우 크다. 표면에 운석 구덩이(크레이터)가 많이 남아 있어, .. 2021. 9. 3.
[2021] 09. 달의 크기와 운동 1. 달의 크기지난 단원에는 에라토스테네스에 의한 지구 크기 측정 실험에 대해 알아봤다. 마찬가지로 지구의 위성인 달의 크기는 어떤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을까가 바로 과학자들이 생각한 과제였다. 이 달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에라토스테네스때와 마찬가지로 두 가지 정도의 수학적 원리를 필요로 한다.첫 번째는 바로 시지름, 과거 '각지름'이라고 불리던 개념이다. 이는 지구에서 천체를 관측할때 눈으로 보이는 지름 이라고 하여 '겉보기 지름'이라고도 불린다. 두 번째는 삼각형의 닮음비 이다. 위의 천체와 눈 사이에 동전을 하나 둔다고 가정해보자. 그리고 그 동전은 정확하게 천체, 그중에서도 우리가 측정하고자 하는 '달'을 가린다면, 우리 눈과 동전 그리고 천체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삼각형을 그릴 수가 있게 .. 2021. 8. 31.
[2021] 08. 지구의 크기와 운동 1단원은 화학, 2단원은 물리에 관한 이야기였다면 3단원은 지구과학으로 넘어간다. 2학년 지구과학의 여정의 시작은 지구의 크기 측정으로 시작된다.1. 지구의 크기 측정 - 에라토스테네스지구의 크기를 측정하고자 한 인물은 바로 에라토스테네스이다. 에라토스테네스는 그 시기에 가지고 있었던 수학적 지식들을 동원하여 지구의 크기를 측정하고자 했다. 우리는 과학에 대해 이야기하기 이전에 먼저 수학에 관하여 이야기해야 한다. 학문의 시작은 철학이었으며, 철학의 끝은 수학이 되었다. 그리고 수학은 과학을 탄생시키기에 이른다. 에라토스테네스가 사용한 수학적 원리는 다음의 두 가지였다. --- 1. 원의 성질-원에서 호의 길이(l)는 중심각의 크기(θ)에 비례한다. 2. 엇각의 성질 --- 이 두가지가 어떻게 쓰였는지는.. 2021. 8.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