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 Study12

[English/구문] Unit 02. SVA 두 번째 Unit은 SVA 문형이다. SV 만으로도 문장의 형태는 완성이 되지만, '장소' '시간' 등의 어떠한 부사적 어구가 있어야 문장의 의미가 완전해지는 문형들이 존재한다. 이를 SVA 문형이라고 말한다. 평상시에 M으로 표기하는 수식어구랑은 다소 차이가 있다. 수식어구는 존재하지 않아도 문장의 의미가 통하지만, 부사적 어구 A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문장의 해석이 불분명해진다. 011. The next flight will be at 2:00 p.m. The next flight will be / at 2:00 p.m. -> 다음 항공편은 있을 것이다 / 오후 2시에 * be동사는 SVA 형태에서 '있다'의 의미를 가진다. 아는 것이 힘이다. 암기라는 생각보다는 그냥 많이 알아가자는 느낌으로 공부해.. 2023. 7. 13.
[English/Reading Comprehension] 영어독해연습 02강 빈칸추론 Exercise 12 1.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없다 / 속담에서 말하듯 → 'as the saying goes'는 '속담(격언)에서 말하듯'이라는 뜻이 있다. 체크하기. 2. 익살스러운 유형들이 있다 / 그러한 생각으로부터 결론으로 이르는 / 지속가능성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라는. → type은 '유형'으로도 해석되지만 '(특징을 지닌) 사람'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move는 '움직이다'라고도 해석할 수 있지만 문장상 결론에 '이르다(이동의 느낌..)'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that sustainability is a logical impossibility'는 conclusion에 대한 설명이다. 지속가능성은 논리적인 불가능이다 라고 해야 맞는데, 한국어적인 느낌으로는 logical이 부사 느낌으로 해석되는 .. 2022. 12. 19.
[English/Reading Comprehension] 영어독해연습 02강 빈칸추론 Exercise 10 1. 하나의 덕목은 / 의미 탐구가 만들어내는 / 추상적으로 생각하기이다. → 나는 virtue는 '덕목'이라는 의미로 자주 해석하는데, '장점, 이점' 등으로 해석하는 것이 해석 중 이해에 더 자연스러울 것 같다. → a quest for meaning에서 묶어서 '의미 탐구'의 의미를 가지는데, quest가 '탐구' meaning이 '의미'인 것은 알았지만 이를 묶어서 해석하지 못하는 것 같다. '의미를 찾기 위한 탐구'라고 해석해도 되는지? 는 모르겠네. 2. 사람들은 종종 생각한다 추상을 / 의미를 벗겨내는 것으로써. → 한국어로는 '추상'을 이라고 말하지는 않아서 살짝 어색한데, 그냥 '추상적인 생각을' 정도로 이해하고 가면 어떨까 싶다. → stripping 보고 스트립쇼 생각이 났다. 건전한.. 2022. 12. 8.
[English/Reading Comprehension] 영어독해연습 빈칸추론 Exercise 3 Delay is a necessary component of procrastination. 지연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 미루기의 This means not only that someone who procrastinates fails to do something that she previously intended to do, but it also requires that she has not given up entirely on completing the task. 이것(지연이 미루기의 필수적인 요소인 것)은 의미한다 / 꾸물거리는 누군가가 무엇을 하려는 것을 실패하는 것 뿐만 아니라 / 그녀가 이전에 하려고 의도했던 (것을) / 이것(지연이 미루기의 필수적인 요소인 것)은 또한 요구한다 / 그녀가 그 포.. 2022. 6. 9.
[English/Reading Comprehension] 영어독해연습 빈칸추론 Exercise 2 Drawings can add value by connecting cognition to physiology and engaging other senses. 그림은 가치를 더할 수 있다 / 인식을 생리기능에 연결하고 다른 감각들을 관여시킴으로서 Good drawings develop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reader from the initial ‘eye contact’ onward to draw in other senses which then start working together to give the picture greater meaning. 좋은 그림은 발전시킨다 / 그들의 독자와의 관계를 / 초기의 ‘아이 컨텍’으로부터 / 계속 끌어들인다 다른 감각들을 / 그리고.. 2022. 6. 8.
[English/Grammar] 문장 기본 + 주어 자리 1. 문장에서 동사는 동작이나 상태를 표현하며, 주어는 그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를 가리킨다. ex. John smiled (John은 미소 지었다. 주어 + 동사) 2. 주어와 동사로 이루어진 문장 단위를 '절'이라 한다. John smiled when he saw me. (존은 미소 지었다 / 그가 나를 보았을 때. 주어 + 동사 + 접속사 + 주어 + 동사 + 목적어) 절과 절 사이에는 '접속사'가 들어간다. 여기서는 when 3. 목적어는 문장에서 동사의 대상을 나타내며,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한다. I like baseball. (나는 야구를 좋아한다. 주어 + 동사 + 목적어) 좋아하는 대상이 야구이므로 baseball은 목적어이다. It is a coffee. (그것은 커피이다. 주.. 2022. 6. 1.
반응형